시낭송가 김정래
2012. 7. 2. 17:55
<정결 : Purity > 맑고 깨끗함을 말한다. 히브리어로는 ‘타하르’(tahar)로 정결하고 순수하며 위생적이고 깨끗한 것을 가리킨다. 하박국은 정결이라는 말을 하나님께 대해 사용하여 하나님의 눈은 정결하시다(합 1:13)고 했으며, 히브리서는 예수님의 피가 사람의 죄를 정결하게 했다(히 1:3)고 적고 있다. 한편 모세의 율법에서는 부정한 것을 정결케 하는 예식의 네 가지 종류가 나오는데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관련된 것(레 11장), 출산한 여인에게 행해야 하는 정결례(레 12장), 피부병에 대한 것(레 13-14장), 남녀의 성기에서 유출되는 분비물로 인해서 치러야 하는 예식(레 15장) 등이다. 부정한 것이 정결하게 되는 이같은 과정은 정결한 생활이 바로 하나님이 명령하신 거룩에 이르는 길임을 보여준다(레 11-15장). → 정결한 짐승에 관해서는 부정을 참고하라. 부정을 깨끗케 하는 재와 물 : 죽은 사람의 시체로 인한 부정을 깨끗하게 하는 데에는 암송아지의 재와 물이 필요했다(민 19:1-10). 우선 백성 중 한 사람이 흠 없는 붉은 암송아지를 끌고 오면(민 19:1-2), 제사장이 암소를 잡아(민 19:3) 그 피를 회막 앞에 일곱 번 뿌렸다(민 19:4). 그런 후 송아지와 백향목, 우슬초, 홍색실을 함께 불살랐다(민 19:5-6). 송아지 도살에 참여했던 자는 따로 정결예식을 치러야 했다(민 19:7-8-10). 이렇게 만들어진 암송아지의 재는 진 밖에 보관하여 필요할 때마다 부정을 깨끗하게 하는 물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민 19:9). 여기서의 부정은 시체를 직접 접촉한 사람(민 19:11-13)뿐만 아니라 시체가 지닌 강력한 부패성에 노출되었던 사람이나 그릇, 각종 기구에도 해당되었다(민 19:14-19).
정결예식 출산한 여인에 대하여(레 12:2-5) 아들을 낳은 경우엔 7일 동안 부정하고 33일이 지나야 깨끗하게 되었고, 딸을 낳은 경우엔 14일 동안 부정하고 66일이 지나야 깨끗하게 되었다. 이 기간이 지난 뒤엔 속죄제(산비둘기 또는 집비둘기)와 번제(일 년된 어린 양)를 드렸다(레 12:6-8). 문둥병자애 대하여(레 14:4) 우묵하고 흰털이 돋고 난육이 생기면 부정한 문둥병이었다. 문둥병이 나은 후엔 제사장이 확인한 뒤, 산새 두 마리, 백향목, 홍색실, 우슬초를 가져와서 한 새는 질그릇 안에서 잡았고 그 피를 문둥병자에게 7번 뿌려 정하다고 한 뒤 다른 새는 날려 보냈다(레 14:7). 유출병자에 대하여(레 15:13) 유출병이 나은 사람은 제8일에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새끼 두 마리를 회막문 앞에서 제사장에게로 가져왔고 속죄제와 번제로 드려서 속죄했다(레 15:13-15; 2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