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 : Fast > 음식 또는 물을 먹지 않는 것 혹은 대부분의 음식을 금하고 물과 간단한 음식만 먹는 것을 말한다. 성경에서 하루 금식이란 해돋는 순간부터 해가 질 때까지를 의미했다. 구약에서 금식의 주제는 주로 ‘의’였다(슥 7:9-10). 하나님은 참된 회개가 포함된 금식에는 언제나 응답하셨으나(욘 3:5-10; 에 4:3, 16) 위선적인 기도에는 응답하시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이사야 시대 백성들은 금식하였지만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았으며(사 58:5) 이사야로부터 참된 금식과 그 결과에 대한 선포를 들어야 했다(사 58:6-8). 구약에서 합법적으로 금식해야 하는 때는 속죄일(레 16:29; 렘 36:6)과 BC 586년 후, 예루살렘 멸망을 기억하기 위해 금식하는 날(슥 7:1-7; 8:19) 등이었다. 성경은 마귀를 쫓아내기 위해서 금식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막 9:14-29; 참고, 어떤 헬라어 사본에는 금식이란 말이 빠져 있는데 아마도 원문에 덧붙여진 것으로 본다). 초대교회에서는 선교사와 장로들을 임명할 때 금식기도를 했다(행 13:2-3, 14:23).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도 영적인 훈련을 위해 금식기도를 한다. 특별히 육신의 욕망들을 통제하고 사역이나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금식한다. 그러나 금식은 업적을 쌓는 행위도, 하나님으로부터 영적인 지위를 얻는 방법도 아니다.
금식기도의 유익 신앙의 유익 : 금식기도의 유익은 성경의 인물들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모세는 40주야를 금식기도하고 십계명을 받았으며, 다니엘은 10일 간 채식과 물만 먹으며 신앙을 지켰다(단 1:12-13). 엘리야는 이세벨을 피해 도망칠 때 40주야를 금식하며 걸어서(왕상 19:8) 호렙 산에 도착하였고 거기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 예수님도 광야의 금식기도(마 4:2) 후 공생애를 시작하셨고, 바울도 주님을 만난 직후 3일을 금식기도한 후에 사역을 했다(행 9:9-11). 건강의 유익 : 금식은 인간의 신체를 자연적으로 치유하는 능력을 활성화시켜 주고 몸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청소해 준다. 따라서 금식은 의학적으로 증명이 되었듯이 어떤 병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정신의 유익 : 금식하는 기간 중에는 잠재의식이 활발하게 작용하고 정신 집중이 잘 되어 성령의 역사를 더욱 강하게 느낄 수 있다.
금식에 대한 예수님의 생각 예수님은 공생애로 들어가시기 전에 40일 동안 금식하셨다(마 4:2). 그러나 제자들이 자신과 함께 있는 동안 금식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씀하셨다(마 9:14-15; 눅 5:33-35). 또한 예수님은 두 전통적인 금식일, 즉 화요일과 목요일의 금식일에 경건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사람들을 물리치셨다(마 6:16-18). 사실 예수님은 금식 자체에 대해서 비판하신 것이 아니라 잘못하는 금식을 질책하신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회개할 때 굵은 베옷을 입고 티끌을 뿌리며 금식했다(느 9:1참고). 개인적인 문제로 금식한 사람들 : 1. 잉태치 못했던 한나(삼상 1:3-7) 2. 앓는 아이를 위해 기도한 다윗(삼하 12:15-18) 3. 다니엘을 사자굴에 넣은 뒤 금식한 다리오 왕(단 6:18)
공적인 문제로 금식한 사람들 : 1. 에스라의 율법 낭독 후 국가적인 회개를 위해(느 9:1) 2. 이스라엘이 베냐민과의 응징전에서 패배한 뒤(삿 20:26) 3. 회개를 위한 사무엘의 미스바 집회에서(삼상 7:6) 4. 여호사밧 왕 때 유다가 모압의 침공 소식을 듣고(대하 20:3) 5. 요나의 선포를 들은 니느웨 백성들(욘 3:5-10) 6. 하만의 음모를 안 모르드개와 유다 사람들(에 4:3)
|